Q. ‘단청’이라는 전통 문화유산을 보존하는 화공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특별한 계기나 이야기가 있으신가요?
친구가 국가유산수리기술자 및 기능자 화공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어 ‘네가 하면 잘할 것 같다’며 한 마디 제게 건넨 것이 제가 화공 분야를 알게 된 계기였습니다. 그래서 화공이란 어떤 분야이며 친구가 보유한 자격증이 무엇인지 찾아보았습니다. 저는 서양의 미술은 잘 알면서 우리 전통 예술에 대해서는 몇 가지 유명한 문화재만 알뿐 모르는 것이 너무 많음을 화공 자격증에 대해 알아가면서 깨닫게 되었습니다. 특히 그중에서도 단청이라는 분야에 제가 너무 무지한 것 같아 더욱 관심이 갔습니다!
Q. 자격증 준비를 결심하실 때, 많은 학습기관 중에서 용산여성인력개발센터를 선택하신 이유는 무엇이었는지 궁금합니다.
제게 화공 분야를 알려 준 친구가 처음에는 자신이 다녔던 전통문화대학교를 추천해주었습니다. 그러나 전통문화대는 부여라는 먼 거리와 3월 입학까지 기다려서 1년을 모두 할애해야 한다는 부담이 너무 컸습니다. 당시가 9월 말이었고, 화공 시험은 4월이기 때문에 전통문화대에 입학하면 화공 시험까지 1달 정도밖에 준비할 수 없다는 점이 제게는 커다란 리스크로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이곳저곳을 많이 알아보았고, 용산여성인력개발센터에서 10월에 신청하면 바로 수업을 받을 수 있다는 점과 무엇보다 저렴한 수업료가 제게 너무나도 좋은 메리트로 다가와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Q. 용산센터에서의 수강 경험이 실제 시험 준비나 실기 역량 향상에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들려주세요. 기억에 남는 수업이나 강사님과의 에피소드도 환영입니다.
저는 처음 용산센터를 접할 때 우선은 단청이 무엇인지 기본이라도 알아가자는 마음으로 수강 신청을 하게 되었고, 정말 강사님께서 단청이란 무엇인지 A부터 설명해주셨기 때문에 그저 강사님께서 알려주시는 것들을 모두 흡수하였습니다! 다만 단청이라는 분야의 특성 상 모든 이론과 명칭, 법칙이 전부 명확한 것이 아니라서 배우면서 몸으로 체득하며 익히고 외워야 하는 부분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공부하는 방식에 있어 조금은 낯설기도 했고, 내가 정확히 알고 잘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신이 없어서 하나하나 요소별로 여쭤보고 바로 옆에다 적어두었습니다. 또 저번주에 물어봤던걸 이번주에 또 묻고, 다음주에 또 물어보며 강사님을 매우 귀찮게 만들었습니다! 심지어 책에 나오는 건축의 명칭까지 태블릿을 들고 가서 이미지를 보며 물어보고 필기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러나 소수 인원으로 진행되는 용산센터가 아니었다면 제가 강사님께 그렇게까지 해서 모든 궁금증을 해결하고 그걸 실기에 적용할 수는 없었을 것이라 생각이 들며, 강사님과 다른 수강생분들이 모두 친해져서 함께 ‘으쌰으쌰!’ 하는 분위기라 편한 마음으로 공부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정말 매주 모든 강의에 절대 빠지지 않기 위해 노력했는데 불가피하게도 심한 이석증으로 응급실에 가느라 한번 결석,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셔서 조퇴를 한번 한 적이 있습니다. 그때마다 놓치는 부분들이 너무 불안했는데 강사님과 다른 수강생분들께서 유인물과 필기 자료를 모두 챙겨주셔서 정말 감사했고 용산센터가 아니라 다른 학원이었다면 불가능했을 것 같습니다!